JavaScript/JavaScript기초 (35) 썸네일형 리스트형 [Javascript] 조건문 조건문이란? 조건문이란 어떠한 조건을 판별하는 기준을 만드는 것을 의미 조건문에는 반드시 비교연산이 필요함 비교연산의 예시 3 > 5 -> false (조건 불충족) 10 === 10 -> true (조건 충족) 비교연산자 목록 이미지출처_codestates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란? true false 두가지만을 가지고 연산하는 연산 논리 연산자의 종류 && : and 연산자. 2가지 조건이 모두 true 이면 true || : or 연산자. 2가지 조건중 하나라도 true 이면 true ! : not 연산자. 조건을 부정 ex) true && false -> 두조건중 하나가 false 이므로 false true || false -> 두 조건중 하나가 true 이므로 true !true -> true.. [Javascript] 함수 함수란?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란 어떤 목적을 가진 작업들을 수행하는 코드들이 모인 블록을 의미 함수의 입력과 출력 이미지출처_codestates 함수에서는 매개변수를 이용해 입력값을 받고 return 으로 값을 출력 function test( a, b){ return a+b } // 해당 함수 호출시 a+b의 값 출력 Java , c 와 같은 언어의 경우 함수의 return 값이 주어지지 않은 함수는 출력값이 없지만, javascript 는 undefinde를 출력함 function test(a , b){ a+b //이 경우 return 값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undefined 출력 } 함수의 선언 방법 함수 선언식 function test( a, b){ return a+b; } 함수 표현식 let t.. [Javascript] 변수와 타입 변수와 상수 뱐수란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값을 의미하고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 변수의 예약어: var, let 상수의 예약어: const let a = 10; a = 11; const b = 10; b = 11; 위 코드의 a는 변수이므로 10 -> 11로 값이 변경되지만 b는 상수이므로 코드 실행 시 오류가 발생. 즉 상수는 값을 변경 할 수 없음 var와 let의 차이점 var는 이미 선언된 변수명으로 다시 변수를 선언해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let은 한번 선언한 변수명으로 다시 변수를 생성할 수 없음 (var: 재선언 가능, let: 재선언 불가) 자바스크립트 타입 숫자(Number) : 정수, 실수 등 숫자타입(NaN 도 number로 취급) ex) 3 , 1.532 문자열(Str.. 이전 1 2 3 4 5 다음